
산학협력단 2022-04-20 14:34 2,300
「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」관련 연구실 적용 안내
(’22. 1. 4(화), 과학기술안전기반팀)
|
「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」 제정(‘21.1.26)‧시행(’22.1.27)으로 안전‧보건관리 등과 관련된 제도적 변화가 예상됩니다. 이에 「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관리·운영되는 연구실에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사항을 안내하오니 연구실 안전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|
□ 중대재해처벌법 주요내용
|
구분 |
주요 내용 |
|||||||||||||||||
|
목 적 |
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·이행 등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함으로써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시민과 종사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 |
|||||||||||||||||
|
정의 |
중대 산업재해 |
「산업안전보건법」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①사망자가 1명 이상, ②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, ③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에 해당하는 결과를 야기한 재해 |
||||||||||||||||
|
중대 시민재해 |
특정 원료 또는 제조물, 공중이용시설 또는 공중교통수단의 설계, 제조, 설치, 관리상의 결함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한 재해 중, ①사망자가 1명 이상, ② 동일한 사고로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10명 이상, ③ 동일한 원인으로 3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질병자가 10명 이상 발생에 해당하는 결과를 야기한 재해 |
|||||||||||||||||
|
안전보건 확보의무 |
중대 산업재해 |
①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이행에 관한 조치
② 재해발생 시 재발방지 대책의 수립 및 이행에 관한 조치 ③ 중앙행정기관 등이 관계 법령에 따라 시정 등을 명한 사항의 이행 조치 ④ 안전·보건 관계 법령상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
|
||||||||||||||||
|
중대 시민재해 |
①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에 관한 조치
② 재해발생 시 재발방지 대책의 수립 및 이행에 관한 조치 ③ 중앙행정기관 등이 관계 법령에 따라 시정 등을 명한 사항의 이행 조치 ④ 안전·보건 관계 법령상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 ※ 중대산업재해 조치사항과 동일(중대법 시행령 제9조 참고) |
|||||||||||||||||
|
처벌 및 양벌 규정 |
상기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위반하여 중대산업재해 또는 중대시민재해가 발생한 경우 처벌 등(예시 : (사업주, 경영책임자) 사망자 1명 이상 발생 시, 최대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, (법인, 기관) 50억원 이하의 벌금) |
|||||||||||||||||
□ 연구실안전법 주요 준수사항
중대재해처벌법에서 “안전·보건 관계 법령(연구실안전법 등)”에 따른 관리상의 조치를 규정하고 있으므로, 유해·위험요인 확인·점검 등 연구실안전법 주요 준수사항을 확인하고 이행하시기 바랍니다.
|
구분 |
주요 내용 |
|
적용 대상 |
○ 연구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과학기술분야 연구실(제3조) ※ 연구활동종사자 10인 미만 기관 법 적용 제외, 타 법(산업안전법 등)적용 기관에 대해 일부 규정 면제(시행령 별표1) |
|
안전관리 기준 |
○ 연구실 설치·운영 기준(행정규칙*) 준수(제5조) * “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”(‘20.12.31. 제정, ’23.1.1. 시행) |
|
기관 안전관리 규정 및 인력·예산 |
○ 안전관리규정 마련‧안내 및 이행(제12조) ※ 주요내용 : 안전관리 조직체계, 안전교육, 연구실사고 대처방안 및 후속대책, 안전예산 등 |
|
○ 연구실책임자(제9조) 및 안전환경관리자(제10조) 지정 |
|
|
○ 연구실 안전관련 주요사항 협의를 위한 ‘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’ 설치‧운영(제11조) |
|
|
○ 안전관리 예산 확보 및 비용 집행(제22조) |
|
|
안전점검, 정밀안전진단 |
○ 주기적인 연구실 안전점검 실시(제14조) - 대상 : 법 적용대상 연구실 - 안전점검 종류 : 일상점검(매일), 정기점검*(1회 이상/1년), 특별안전점검*(필요시) * 실시방법 : 기관 자체실시(실시요건 충족 필요) 또는 과기정통부 등록 대행기관에 위탁 |
|
○ 고위험 연구실 등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연구실 정밀안전진단 실시(제15조) - 대상 : 위험성이 높은 유해인자 취급 연구실 또는 안전점검 후 필요한 경우 - 실시방법 : 기관 자체실시(실시요건 충족 필요) 또는 과기정통부 등록 대행기관에 위탁 |
|
|
○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후속조치(제16조) : 결과 공표 및 지적사항 개선 등 |
|
|
교육, 훈련 |
○ 주기적인 연구활동종사자 교육·훈련 실시(제20조) - 교육종류 : 신규교육, 정기교육 * 시행규칙 별표3에 따른 교육시간 및 교육 내용 이수 |
|
○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대상 교육(제20조) - 교육종류 : 신규교육(지정 후 6개월 이내), 정기교육(2년 주기) |
|
|
건강검진 |
○ 연구활동종사자 건강보호를 위한 일반건강검진 실시(제21조, 규칙 제11조) - 대상 : 유해물질 취급 연구활동종사자 등 ※ 국민건강보험법, 학교보건법, 산업안전법에 의한 검진을 받은 경우 면제 |
|
○ 연구활동종사자 건강보호를 위한 특수건강검진 실시(제21조, 규칙 제11조) - 대상 : 산업안전법의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를 취급하는 연구활동종사자 등 ※ 산업안전법의 특수건강진단을 받은 경우 면제 |
|
|
○ 건강검진 후속조치(제21조) : 필요 시 연구 장소 변경, 연구시간 단축 등 |
|
|
연구실사고 보고 |
○ 연구실사고 발생 시 과기정통부 보고(제23조) ※ 보고시기 : (중대연구실사고) 즉시, (3일 이상 치료를 요하는 인명피해 사고) 1개월 이내 |
|
보험가입 |
○ 연구활동종사자 사고피해 보상을 위한 보험가입(제26조) - 가입주체 : 연구주체의 장 - 가입대상 : 모든 연구활동종사자(학생 포함) ※ 단, 산재보험법, 공무원재해보상법, 사학연금법, 군인연금법 가입자는 면제 |
|
※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중대사고에 대한 경영책임자 등의 처벌이 강화되고 안전보건 법령 준수 및 이행이 요구되고 있으므로, 연구실안전법 준수를 통해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환경을 확보하여 중대재해 예방에 만전을 기해주시기 바랍니다. |